1. 조음음운장애인 강현이는 ☆☆유치원 5세 반에 다니고 있다. (가)는 담임교사인 김 교사의 관찰 메모이고, (나)는 김 교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순회교사인 최 교사와의 대화 내용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가) 김 교사의 관찰 메모
관찰대상: 강현 | 관찰일:4월16일 | 관찰 장면 : 자유선택활동 |
5세의 일반 유아는 ‘풍선’그림이 그려져 있는 카드를 보고 정확하게 ‘풍-선’이라고 발음 했는데, ㉠강현이는 ‘풍-턴’이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역할놀이를 할 때 강현이는 아기 모형 인형을 품에 안으면서 ㉡‘우유를 먹으로 있어.’라고 말했다. | ||
(강현이와 일반유아 민수는 블록놀이를 하고 있는 중이다.) 강현 : (노란색 블록을 왼손에 쥐고 오른손으론 블 록을 위로 쌓고 있다.) 민수 : (강현이가 쥐고 있는 노란색 블록을 보면서) 나 노란색 블록 가지고 싶은데.. 강현 : (노란색 블록을 왼손에 계속 쥔 채로 오른 손으론 블록을 계속 쌓고 있다.) 민수 : (강현이를 바라보며)아~누가 노란색 블록을 주었으면 좋겠다! 강현 : (왼손은 노란색 블록을 쥐고, 오른손으론 쌓 아 놓은 블록을 무너트리며) 무너졌어! 민수 : (무너진 블록을 보고 블록영역에서 역할놀이 영역으로 자리를 옮긴다.) |
(나) 두 교사의 대화
김 교사: 선생님, 저번에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강 현이의 언어문제로 검사를 하셨잖아요. 결과가 어떻게 나왔나요? 최 교사: 네, 강현이가 자주 오류를 보이는 음소는 /ㄷ//ㅈ//ㅅ//ㄱ/이라고 검사 결과가 나 왔어요. 김 교사: 그렇군요. 이제 그 검사결과를 가지고 ㉢ 목표음소를 설정하고 치료계획을 세워야 되겠네요. |
1) 유아 강현에게서 보인 ㉠, ㉡ 조음음운오류의 형태의 유형을 쓰고, 그 유형에 대해 간단히 설명 하시오.
㉠ :
㉡ :
2) 언어의 하위체계에는 5가지 (음운론 등)가 있다. 민수와 강현이의 대화를 읽고, 강현이의 행동은 언어의 하위 체계 중 무엇과 관련된 문제인지 쓰시오.
∙
3) ㉢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
∙
∙
∙
--------------------------------------정답-------------------------------------------------
1-1)
㉠대치,
목표음소 대신 다른 음소로 발음하는 오류(목표 음이 다른 음으로 바뀌는 경우)로 어려운 음소 대신 자신이 낼 수 있는 쉬운 음소로 바꾸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첨가,
목표 음소 외의 음소를 첨가하는 오류로(필요 없는 음이 삽입되는 경우)모음이나 자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1-2) 화용론
해설)
화용에 어려움이 보이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있어 너무 직설적이고 융통성이 없다. ②원인 결과를 이해하는데 결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야기 전체의 의미를 분석하기, 종말 추측하기, 모순점 찾기 과제에 대하여 어려움을 나타낸다. ③간접적인 표현이나 완곡한 표현을 이해하지 못한다. ④의사소통 순서를 잘 지키지 못해 상대방의 대화 도중 끼어들기, 대답을 기다리지 않고 질문만 하기도 한다. ⑤제한된 의사소통 기능만을 나타낸다. ⑥상대방의 전제나 가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⑦상대방의 비언어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⑧인칭, 시간 등을 나타내는 상대어나 지시어, 관계어 등의 사용에 결함을 보인다. ⑨의미론적 결함이 동반된 경우에는 상대방의 말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반복하는 반향어나 기계적인 상투어 사용을 보이기도 한다. |
1-3) 아동의 연령, 한국에서 사용되는 음소의 빈도, 아동의 자극 반응도, 조음 오류를 보이는 정도
해설)
아동의 연령 | 아동의 발달단계에서 반드시 습득하여야 하는 음소와 그렇지 않은 음소를 고려하려야 한다. (예: 3세 아동에게 /ㄷ/, /ㅈ/, /ㅅ/의 오류가 있다면 /ㄷ/은 목표 음소로 적절하지만 /ㅈ/, /ㅅ/은 목표 음소로 적합하지 않다. ) |
한국에서 사용되는 음소의 빈도 | 우리말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음소를 먼저 훈련하면 말의 명료도를 우선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예: /ㄴ, ㄹ, ㄱ, ㄷ, ㅁ/) |
아동의 자극 반응도 | 단서나 자극을 주었을 때 아동이 얼마나 유사한 발음을 낼 수 있느냐 하는 것으로 자극 반응도가 높은 음소가 그렇지 않은 음소보다 더 쉽게 습득될 수 있으므로 자극 반응도가 높은 순서대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 |
조음 오류를 보이는 정도 | 오류의 일관성과 오류 형태와 관련된 요인이다. (예 : 어떤 때는 바르게 발음하는데 어떤 때는 오류를 나타내는 음소가 매번 오류를 나타내는 음소보다는 치료의 순서를 앞당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