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자료실

Home > 커뮤니티 > 자료실

의사소통장애 임용문제

작성자 :
홍록원
조회수 :
805
작성일 :
2015-04-19

1. 조음음운장애인 강현이는 ☆☆유치원 5세 반에 다니고 있다. ()는 담임교사인 김 교사의 관찰 메모이고, ()는 김 교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순회교사인 최 교사와의 대화 내용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 김 교사의 관찰 메모

관찰대상: 강현

관찰일:416

관찰 장면 : 자유선택활동

5세의 일반 유아는 풍선그림이 그려져 있는 카드를 보고 정확하게 -이라고 발음 했는데, 강현이는 -이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역할놀이를 할 때 강현이는 아기 모형 인형을 품에 안으면서 우유를 먹으로 있어.’라고 말했다.

(강현이와 일반유아 민수는 블록놀이를 하고 있는 중이다.)

강현 : (노란색 블록을 왼손에 쥐고 오른손으론 블 록을 위로 쌓고 있다.)

민수 : (강현이가 쥐고 있는 노란색 블록을 보면서)

나 노란색 블록 가지고 싶은데..

강현 : (노란색 블록을 왼손에 계속 쥔 채로 오른 손으론 블록을 계속 쌓고 있다.)

민수 : (강현이를 바라보며)~누가 노란색 블록을 주었으면 좋겠다!

강현 : (왼손은 노란색 블록을 쥐고, 오른손으론 쌓 아 놓은 블록을 무너트리며) 무너졌어!

민수 : (무너진 블록을 보고 블록영역에서 역할놀이 영역으로 자리를 옮긴다.)

 

() 두 교사의 대화

김 교사: 선생님, 저번에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강 현이의 언어문제로 검사를 하셨잖아요. 결과가 어떻게 나왔나요?

최 교사: , 강현이가 자주 오류를 보이는 음소는 ////////이라고 검사 결과가 나 왔어요.

김 교사: 그렇군요. 이제 그 검사결과를 가지고 목표음소를 설정하고 치료계획을 세워야 되겠네요.

 

 

1) 유아 강현에게서 보인 , 조음음운오류의 형태의 유형을 쓰고, 그 유형에 대해 간단히 설명 하시오.

 

:

 

 

:

 

 

 

2) 언어의 하위체계에는 5가지 (음운론 등)가 있다. 민수와 강현이의 대화를 읽고, 강현이의 행동은 언어의 하위 체계 중 무엇과 관련된 문제인지 쓰시오.

 

 

 

3) 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정답-------------------------------------------------

1-1)

대치,

목표음소 대신 다른 음소로 발음하는 오류(목표 음이 다른 음으로 바뀌는 경우)로 어려운 음소 대신 자신이 낼 수 있는 쉬운 음소로 바꾸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첨가,

목표 음소 외의 음소를 첨가하는 오류(필요 없는 음이 삽입되는 경우)모음이나 자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1-2) 화용론

해설)

화용에 어려움이 보이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있어 너무 직설적이고 융통성이 없다.

원인 결과를 이해하는데 결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야기 전체의 의미를 분석하기, 종말 추측하기, 모순점 찾기 과제에 대하여 어려움을 나타낸다.

간접적인 표현이나 완곡한 표현을 이해하지 못한다.

의사소통 순서를 잘 지키지 못해 상대방의 대화 도중 끼어들기, 대답을 기다리지 않고 질문만 하기도 한다.

제한된 의사소통 기능만을 나타낸다.

상대방의 전제나 가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상대방의 비언어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인칭, 시간 등을 나타내는 상대어나 지시어, 관계어 등의 사용에 결함을 보인다.

의미론적 결함이 동반된 경우에는 상대방의 말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반복하는 반향어나 기계적인 상투어 사용을 보이기도 한다.

 

1-3) 아동의 연령, 한국에서 사용되는 음소의 빈도, 아동의 자극 반응도, 조음 오류를 보이는 정도

 

해설)

아동의 연령

아동의 발달단계에서 반드시 습득하여야 하는 음소와 그렇지 않은 음소를 고려하려야 한다. (: 3세 아동에게 //, //, //의 오류가 있다면 //은 목표 음소로 적절하지만 //, //은 목표 음소로 적합하지 않다. )

한국에서 사용되는 음소의 빈도

우리말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음소를 먼저 훈련하면 말의 명료도를 우선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 , , , /)

아동의 자극 반응도

단서나 자극을 주었을 때 아동이 얼마나 유사한 발음을 낼 수 있느냐 하는 것으로 자극 반응도가 높은 음소가 그렇지 않은 음소보다 더 쉽게 습득될 수 있으므로 자극 반응도가 높은 순서대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조음 오류를 보이는 정도

오류의 일관성과 오류 형태와 관련된 요인이다. (: 어떤 때는 바르게 발음하는데 어떤 때는 오류를 나타내는 음소가 매번 오류를 나타내는 음소보다는 치료의 순서를 앞당길 수 있다.)